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다양한 Rat 채혈방법 , 미정맥 Lateral tail vein 채혈 방법

by 하늘빛인생 2025. 3. 7.
728x90

미정맥(꼬리 정맥, lateral tail vein) 채혈

 

마취 없이도 수행할 수 있어 실험동물 연구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
 

 

1. 준비물

Rat (채혈 대상)
체온 유지 장비 (예: 온열패드, 따뜻한 물수건)
알코올 솜 (70% 알코올)
23G~27G 주사침 또는 나비바늘
주사기(1mL~3mL) 또는 헤파린 처리된 모세관
수혈 튜브 또는 EDTA 튜브 (혈액 저장)

 

 

 

 


2. 체혈 전 준비

  1. Rat 보정
    • 미정맥 채혈은 마취 없이도 가능하지만, 필요에 따라 마취(이소플루란, 케타민-자일라진 혼합제 등)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rat을 보정 기구(restrainer)에 넣거나, 손으로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.
  2. 꼬리 정맥 확장 유도
    • 체온이 낮으면 혈관이 수축하므로, 꼬리를 따뜻하게 유지해야 합니다.
    • 따뜻한 물에 적신 천을 감싸거나, 온열 패드를 사용하면 정맥이 확장되어 채혈이 쉬워집니다.
    • 꼬리를 가볍게 마사지하여 혈류를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
3. 체혈 방법

(1) 채혈 부위 확인

  • Rat의 꼬리에는 2개의 미정맥(좌우 각각 1개)과 1개의 미동맥(꼬리 중앙부)에 위치) 합니다.
  • 꼬리 양쪽에 보이는 푸른색 정맥(lateral tail vein)을 선택합니다.

(2) 주사침 삽입

  1. 70% 알코올 솜으로 꼬리를 소독하여 혈관을 선명하게 합니다.
  2. 주사침(23G27G) 또는 나비바늘을 1030° 각도로 삽입합니다.
  3. 바늘 끝이 혈관에 들어가면 피가 역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4. 혈액을 원하는 양만큼 채취한 후, 바늘을 제거하고 깨끗한 거즈로 지혈합니다.

(3) 채혈량

  • 일반적으로 1회 채혈량은 체중의 10% 이내(약 1mL/100g)를 권장합니다.
  • 반복 채혈 시 최소 24시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.

4. 주의사항 및 팁

혈관 손상 방지: 같은 부위에 반복적으로 채혈하면 혈관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, 좌우 번갈아 가며 사용합니다.
출혈 시 대처: 바늘 제거 후 거즈로 가볍게 압박하여 지혈합니다.
스트레스 관리: Rat이 불안해하면 혈관이 수축하므로, 부드럽게 다루고 빠르게 채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 

Rat 채혈 방법 종류

실험 목적과 필요 혈액량에 따라 다양한 체혈 방법이 사용됩니다. 각 방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, 연구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1. 미정맥(꼬리 정맥, Lateral tail vein) 채혈

방법: Rat의 꼬리 옆면(lateral tail vein)에서 체혈
필요 혈액량: 소량 (50~500 µL)
장점:

  • 마취 없이 채혈 가능
  • 비교적 간단하고 반복 채혈 가능
    단점:
  • 혈관이 작아 숙련도가 필요
  • 반복 체혈 시 혈관 손상 가능
    용도: 혈장, 혈청 분석, 약물 동태 연구

2. 미동맥(꼬리 동맥, Ventral tail artery) 채혈

방법: 꼬리 중앙에 위치한 미동맥에서 채혈
필요 혈액량: 중간대량 (500 µL3 mL)
장점:

  • 정맥보다 많은 혈액을 채취 가능
    단점:
  • 마취 필요
  • 출혈 위험 높음
    용도: 혈액가스 분석, 대량 혈액 채취

3. 복대정맥(Ventral abdominal vein) 채혈

방법: 복부 하단의 복대정맥(ventral abdominal vein)에서 주사기로 채혈
필요 혈액량: 중간대량 (500 µL3 mL)
장점:

  • 비교적 많은 혈액을 단시간에 채혈 가능
    단점:
  • 마취 필요
  • 내장 손상 위험
    용도: 단회 혈액 채취 실험

4. 심장 채혈(Cardiac puncture, Terminal)

방법: 심장(좌심실 또는 우심방)에서 직접 혈액을 채취
필요 혈액량: 대량 (3~10mL)
장점:

  • 많은 양의 혈액을 단시간에 확보 가능
    단점:
  • 희생(terminal) 실험에서만 가능
  • 숙련된 기술 필요
    용도: 최종 혈액 수집, 혈액학/혈청학 분석

5. 복강 채혈(Retro-orbital, Submandibular, Saphenous vein)

(1) 안와정맥총(Retro-orbital plexus) 채혈

방법: 안구 뒤쪽의 정맥총에서 모세관을 이용해 채혈
필요 혈액량: 중간 (100~500 µL)
장점:

  • 단시간에 다량 채혈 가능
    단점:
  • 마취 필수
  • 안구 손상 위험 높음
    용도: 혈청, 혈장 연구

(2) 턱밑정맥(Submandibular vein) 채혈

방법: 턱 아래(하악) 정맥에서 채혈
필요 혈액량: 중간 (200~600 µL)
장점:

  • 반복 채혈 가능
    단점:
  • 출혈 가능성 높음
    용도: 혈청, 혈장 연구

(3) 복강 대퇴정맥(Saphenous vein) 채혈

방법: 뒷다리 안쪽 대퇴정맥에서 채혈
필요 혈액량: 소량 (100~300 µL)
장점:

  • 비침습적이며 반복 채혈 가능
    단점:
  • 숙련도 필요
    용도: 반복 채혈이 필요한 연구

🔎 채혈 방법 비교표

 채혈 부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마취 필요 여부            채혈량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반복 가능 여부      난이도

미정맥(꼬리 정맥) 50~500µL 쉬움
미동맥(꼬리 동맥) 500µL~3mL 보통
복대정맥 500µL~3mL 어려움
심장 채혈 ✅ (희생) 3~10mL 어려움
안와정맥총 100~500µL 보통
턱밑정맥 200~600µL 보통
대퇴정맥 100~300µL 어려움

📌 요약

  • 소량 채혈(반복 가능) → 미정맥, 대퇴정맥, 턱밑정맥
  • 중간~대량 채혈(1회 가능) → 미동맥, 복대정맥, 안와정맥총
  • 대량 채혈(희생 실험) → 심장 채혈
300x250